입력 : 2019.01.21 13:51
수정 : 2019.01.21 13:51

[데일리카 박경수 기자] 향후 10여년간 미래차 트렌드에 대한 심도 있는 분석 보고서가 등장했다. 이 보고서는 '연결성(connectivity)'이 미래차 산업의 트렌드를 이끌 것이라고 전망했다.
글로벌 컨설팅 기업 KPMG인터내셔널은 21일(한국시간) '2019 글로벌 자동차산업 동향 보고서'를 발표했다.
글로벌 컨설팅 기업 KPMG인터내셔널은 21일(한국시간) '2019 글로벌 자동차산업 동향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 작성에 참여한 조사자 중 경영자의 59%는 2030년까지 자동차산업을 이끌 핵심 트렌드로 '연결성'을 꼽았다. 전기차(56%)나 수소전기차(56%)보다 연결성이 당분간 자동차 산업 트렌드를 이끈다는 분석이다.
이동과 운송의 개념이 통합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왔다. 경영진의 60%는 미래에는 인간의 이동과 상품의 운송을 구분하지 않을 것이라고 답했다.
이동과 운송의 개념이 통합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왔다. 경영진의 60%는 미래에는 인간의 이동과 상품의 운송을 구분하지 않을 것이라고 답했다.

KPMG는 "연결성은 사람과 기계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는 요소"라며 "이 과정에서 디지털라이제이션도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조사됐다"고 설명했다.
또 경영진들은 올해 자동차 업계 주요 이슈로 규제를 꼽기도 했다. 정부 규제가 자동차 산업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전망이다.
또 경영진들은 올해 자동차 업계 주요 이슈로 규제를 꼽기도 했다. 정부 규제가 자동차 산업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전망이다.

이밖에도 국가별 보유 자원과 기술의 조합이나, 기업 간 협력, 하이브리드 차량 선호도 등이 향후 10년 동안 미래 자동차 산업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봤다.
KPMG인터내셔널은 "세계 자동차산업을 이끌 핵심 트렌드는 연결성"이라고 보고서의 결론을 내렸다. 위승훈 삼정KPMG 자동차산업본부 부대표는 "자동차산업 환경의 발전이 커넥팅과 디지털 기술 등 소프트웨어 분야 발전으로 전환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KPMG인터내셔널은 "세계 자동차산업을 이끌 핵심 트렌드는 연결성"이라고 보고서의 결론을 내렸다. 위승훈 삼정KPMG 자동차산업본부 부대표는 "자동차산업 환경의 발전이 커넥팅과 디지털 기술 등 소프트웨어 분야 발전으로 전환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KPMG인터내셔널이 글로벌 자동차산업 경영진 1000명과 소비자 20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다.
클래스가 다른; 자동차 뉴스 데일리카 http://www.dailycar.co.kr
본 기사를 이용하실 때는 출처를 밝히셔야 하며 기사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관련기사]
클래스가 다른; 자동차 뉴스 데일리카 http://www.dailycar.co.kr
본 기사를 이용하실 때는 출처를 밝히셔야 하며 기사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