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18.12.13 14:58
수정 : 2018.12.13 14:58

[데일리카 박홍준 기자] 현대차그룹이 중소 협력사들에 대한 상생 협력을 강화한다.
현대자동차그룹은 13일 1조6728억원 규모의 자금을 조성하고 경영 안정화와 긴급 지원을 위한 프로그램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현대차는 이를 통해 중소 부품 협력사에 경영 안정화를 위한 자금을 지원하고, 친환경차 및 미래차 부품 육성을 확대하겠다는 입장이다.
현대자동차그룹은 13일 1조6728억원 규모의 자금을 조성하고 경영 안정화와 긴급 지원을 위한 프로그램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현대차는 이를 통해 중소 부품 협력사에 경영 안정화를 위한 자금을 지원하고, 친환경차 및 미래차 부품 육성을 확대하겠다는 입장이다.

1400억원 규모의 미래성장펀드도 새롭게 조성된다. 1~3차 협력사는 이를 통해 경영 환경을 극복하고, 친환경차, 자율주행차 등 미래 부품 투자에 필요한 자금을 저리로 지원받을 수 있다.
투자비 조기 지급 제도도 신규 도입된다. 그간 부품연구개발용 투자비의 경우, 연구개발 종료 이후 시점에 자금을 지급했으나, 앞으로는 연구개발 초기 및 종료 이후 시점에 맞춰 조기 지급을 진행한다는 입장이다.
상대적으로 많은 투자비가 발생하는 부품 양산용 투자비는 양산 이후 일시에 조기 지급된다. 이는 양산 초기 투자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협력사의 부담을 완화하는데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게 현대차그룹 측의 설명이며, 향후 5년간 협력사가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자금 규모는 1조4558억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투자비 조기 지급 제도도 신규 도입된다. 그간 부품연구개발용 투자비의 경우, 연구개발 종료 이후 시점에 자금을 지급했으나, 앞으로는 연구개발 초기 및 종료 이후 시점에 맞춰 조기 지급을 진행한다는 입장이다.
상대적으로 많은 투자비가 발생하는 부품 양산용 투자비는 양산 이후 일시에 조기 지급된다. 이는 양산 초기 투자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협력사의 부담을 완화하는데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게 현대차그룹 측의 설명이며, 향후 5년간 협력사가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자금 규모는 1조4558억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협력사의 생산관리 시스템 구축과 해외 진출 및 마케팅 활동에 대한 지원도 신설한다.
현대차그룹은 당장 내년부터 3년간 2~3차 중소 협력사 800여개사를 대상으로 IT, 소프트웨어 기반의 공장 자율제어시스템 구축 비용을 지원하며, 중소벤처기업부의 상생형 스마트공장 사업과 연계한 프로그램으로 연간 270개의 부품업체를 지원할 계획이다.
여기에 국내외 자동차 부품 산업 전시회 참가를 보조하고, 해외 바이어를 매칭시켜주는 프로그램을 제공, 오는 2021년까지 매년 80여개사, 3년간 총 240여개사를 지원할 계획이다.
현대차그룹은 당장 내년부터 3년간 2~3차 중소 협력사 800여개사를 대상으로 IT, 소프트웨어 기반의 공장 자율제어시스템 구축 비용을 지원하며, 중소벤처기업부의 상생형 스마트공장 사업과 연계한 프로그램으로 연간 270개의 부품업체를 지원할 계획이다.
여기에 국내외 자동차 부품 산업 전시회 참가를 보조하고, 해외 바이어를 매칭시켜주는 프로그램을 제공, 오는 2021년까지 매년 80여개사, 3년간 총 240여개사를 지원할 계획이다.

국내의 경우 한국 자동차산업 전시회 부스 임차, 상담장 운영 등의 비용을 지원하며 러시아 모스크바 자동차부품 전시회, 중국 상하이 오토메카니카, 이집트 카이로 자동차 부품 전시회 등의 참가비와 항공, 숙박 등 제반 비용도 지원할 계획이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중소 부품 협력사들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인 지원 방안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라며 “산업 패러다임 변화를 실력으로 함께 극복할 수 있는 체계를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현대차, 기아차, 현대모비스는 부품업체의 경영 안정화 긴급 지원을 위한 별도의 프로그램에도 150억원 씩을 추가로 출연할 계획이다.
클래스가 다른; 자동차 뉴스 데일리카 http://www.dailycar.co.kr
본 기사를 이용하실 때는 출처를 밝히셔야 하며 기사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관련기사]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중소 부품 협력사들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인 지원 방안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라며 “산업 패러다임 변화를 실력으로 함께 극복할 수 있는 체계를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현대차, 기아차, 현대모비스는 부품업체의 경영 안정화 긴급 지원을 위한 별도의 프로그램에도 150억원 씩을 추가로 출연할 계획이다.
클래스가 다른; 자동차 뉴스 데일리카 http://www.dailycar.co.kr
본 기사를 이용하실 때는 출처를 밝히셔야 하며 기사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