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인천-서울 광역버스 21일 운행 중단?… 해결책은

더드라이브 수민신 기자

입력 : 2018.08.14 00:11

인천과 서울을 오고 가는 광역버스가 21일 운행 중단을 예고했다.

지난 11일 인천시에 따르면 인천 6개 광역버스 업체는 8월 21일 첫차부터 19개 노선버스 259대의 운행을 중단하겠다며 이달 9일 폐선 신고서를 시청 민원실에 제출했다.

노선 폐지를 신고한 업체는 신강교통(1100·1101·1601·9501·9802번), 인강여객(9100·9200·9201번), 선진여객(9300·1800번), 천지교통(1300·1301·1302·2500번), 마니교통(1000·1400·1500·9500번), 신동아교통(1200번)이다.

이들 노선은 인천에 본사를 둔 광역버스 업체 노선으로, 국토교통부 담당 광역급행버스(M버스) 노선과는 다르다.

이들 업체는 적자가 계속 누적되고 있기 때문에 운행 중단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업체는 “수인선, 인천지하철 2호선 개통 등 수도권 철도망 확충에 따라 버스 이용 고객이 감소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또 “최저시급 인상과 운수종사자 휴게시간 보장법 신설로 운송수지 적자가 계속되고 준공영제에 참여하는 시내버스와 처우 격차가 더 벌어졌다”라고 덧붙였다.

업체들이 실제로 운행 중단을 강행하면 인천 광역버스 전체의 75.3%가 멈춰 서게 돼 서울로 출퇴근하는 시민들의 극심한 불편이 예상된다.

이에 대해 업체들은 시의 재정 지원 및 광역버스 준공영제 도입을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다.

버스 준공영제는 민간업체가 버스 노선을 운영하되 운송원가 대비 적자를 공공기관이 전액 지원해 주는 제도다. 이용률이 낮은 원도심의 비인기 노선도 재정 투입으로 버스 운행을 유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공익성이 강한 제도다.

인천시는 2009년부터 시내버스 준공영제를 시행했지만, 상대적으로 소규모 단체인 광역버스업계는 준공영제 적용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다.

인천시는 민원처리 규정에 따라 늦어도 8월 16일까지는 노선 폐지 수용 또는 반려 여부를 버스업체에 회신해야 한다.

한편, 광역버스업계는 인천시가 지원하기로 했던 23억 원을 애초 계획대로 지급하지 않으면 8월 21일 노선 폐지를 강행할 것이라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신수민 기자

PC 버전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