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18.07.27 19:48
수정 : 2018.07.27 19:48

[데일리카 박홍준 기자] 아우디가 국내 시장에서 A3를 40% 할인 판매할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이와 같은 결정 배경이 주목된다.
27일 수입차 업계에 따르면, 아우디코리아는 A3의 가솔린 모델을 다음 달 중 국내 수입차 시장에서 할인 판매할 예정이다. 다만 구체적인 할인 금액과 판매 방식에 대해선 결정된 바가 없다는 입장이다.
이와 같은 사태의 배경은 수도권대기환경개선특별법에 의거, 연간 4500대 이상의 자동차를 판매하는 회사들은 9.5% 이상의 저공해차 판매 비율을 충족 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인데다 저공해차 인증을 받은 A3를 할인 판매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27일 수입차 업계에 따르면, 아우디코리아는 A3의 가솔린 모델을 다음 달 중 국내 수입차 시장에서 할인 판매할 예정이다. 다만 구체적인 할인 금액과 판매 방식에 대해선 결정된 바가 없다는 입장이다.
이와 같은 사태의 배경은 수도권대기환경개선특별법에 의거, 연간 4500대 이상의 자동차를 판매하는 회사들은 9.5% 이상의 저공해차 판매 비율을 충족 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인데다 저공해차 인증을 받은 A3를 할인 판매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이렇듯 A3에 과도한 할인율을 적용해 판매하는 건 아우디코리아가 출혈을 감내해서라도 정부가 요구하는 법적 규제 사항을 충족시키고자 하는 ‘고육지책(苦肉之策)’이라는 분석이다. 아우디는 국내 판매 재개를 발표하며 ‘신뢰 회복’을 강조해 왔다.
이와 같은 상황이 벌어지는 건 정부의 근시안적인 정책 시각이 주된 이유라는 볼멘소리가 나온다.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와 FCA코리아가 작년 8월 같은 법령에 의거해 과징금을 부과받은 전례가 회자되는 이유다.
지난 해 과징금을 부과 받은 벤츠의 당시 저공해차 판매 대수는 0대에 그쳤다. 이는 당시 디젤게이트로 인해 저공해차 인증을 받은 디젤차들의 저공해 인증이 대거 취소됨에 따른 결과다. FCA 또한 저공해차로 분류된 모델이 전무했다.
이와 같은 상황이 벌어지는 건 정부의 근시안적인 정책 시각이 주된 이유라는 볼멘소리가 나온다.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와 FCA코리아가 작년 8월 같은 법령에 의거해 과징금을 부과받은 전례가 회자되는 이유다.
지난 해 과징금을 부과 받은 벤츠의 당시 저공해차 판매 대수는 0대에 그쳤다. 이는 당시 디젤게이트로 인해 저공해차 인증을 받은 디젤차들의 저공해 인증이 대거 취소됨에 따른 결과다. FCA 또한 저공해차로 분류된 모델이 전무했다.

당시 BMW코리아의 경우 ‘i 시리즈’로 대표되는 전기차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모델을 판매중에 있었으나, 벤츠와 FCA는 글로벌 시장에서 조차 전기차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출시가 미미했다. 다만, 벤츠는 올해부터 순차적으로 ‘EQ’ 라인업을 선보임에 따라 저공해차 판매 비중을 준수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수입차 업계의 한 관계자는 “가령 하이브리드 판매 비중이 90% 이상인 토요타와 렉서스의 경우 이는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 사안”이라며 “대배기량 가솔린 엔진을 사용하는 미국 브랜드와 디젤 라인업을 중심으로 꾸려진 유럽 브랜드들은 상대적으로 불리할 수 있는 규제라고 본다”고 지적했다.
한편, 아우디코리아는 다음달 중 A3의 판매 방식과 도입 규모를 밝힐 것으로 알려졌다. 일부 딜러사들의 경우 A3의 가계약을 진행하고 있지만, 딜러사 별 물량 배정 계획 또한 결정된 바가 없다는 입장이다.
수입차 업계의 한 관계자는 “가령 하이브리드 판매 비중이 90% 이상인 토요타와 렉서스의 경우 이는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 사안”이라며 “대배기량 가솔린 엔진을 사용하는 미국 브랜드와 디젤 라인업을 중심으로 꾸려진 유럽 브랜드들은 상대적으로 불리할 수 있는 규제라고 본다”고 지적했다.
한편, 아우디코리아는 다음달 중 A3의 판매 방식과 도입 규모를 밝힐 것으로 알려졌다. 일부 딜러사들의 경우 A3의 가계약을 진행하고 있지만, 딜러사 별 물량 배정 계획 또한 결정된 바가 없다는 입장이다.

클래스가 다른; 자동차 뉴스 데일리카 http://www.dailycar.co.kr
본 기사를 이용하실 때는 출처를 밝히셔야 하며 기사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관련기사]
본 기사를 이용하실 때는 출처를 밝히셔야 하며 기사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