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18.07.23 10:05
수정 : 2018.07.23 10:05

[데일리카 박홍준 기자] 현대모비스가 차량용 소프트웨어 개발과 검증에 인공지능 시스템을 접목한다.
23일 현대모비스는 인공지능을 기반의 소프트웨어 검증시스템 ‘마이스트’와 딥러닝 기능을 탑재한 대화형 개발문서 검색 로봇을 도입한다고 밝혔다.
현대모비스가 카이스트 전산학부 김문주 교수와 공동으로 개발한 마이스트는 연구원 대신 소프트웨어 검증작업을 수행하는 인공지능 시스템으로, 연구원들이 설계한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소프트웨어의 모든 연산과정을 인공지능으로 검증한다. 기존 수작업으로 이뤄지던 소프트웨어 검증 업무를 자동화한 것이다.
현대모비스는 마이스트를 통합형 차체제어시스템(IBU)과 써라운드뷰모니터링 시스템(SVM) 검증에 시범 적용한 결과, IBU와 SVM의 소프트웨어 검증 업무의 각 53%, 70%를 마이스트가 처리했다고 밝혔다.
현대모비스가 소프트웨어 검증작업에 인공지능 기술을 선제적으로 도입한 것은 자동차 한 대에서 차지하는 소프트웨어 비중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글로벌 시장분석 기관 맥킨지 앤드 컴퍼니에 따르면 자동차 한 대에서 소프트웨어가 차지하는 비중은 현재 10%에서 2030년 30% 수준으로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23일 현대모비스는 인공지능을 기반의 소프트웨어 검증시스템 ‘마이스트’와 딥러닝 기능을 탑재한 대화형 개발문서 검색 로봇을 도입한다고 밝혔다.
현대모비스가 카이스트 전산학부 김문주 교수와 공동으로 개발한 마이스트는 연구원 대신 소프트웨어 검증작업을 수행하는 인공지능 시스템으로, 연구원들이 설계한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소프트웨어의 모든 연산과정을 인공지능으로 검증한다. 기존 수작업으로 이뤄지던 소프트웨어 검증 업무를 자동화한 것이다.
현대모비스는 마이스트를 통합형 차체제어시스템(IBU)과 써라운드뷰모니터링 시스템(SVM) 검증에 시범 적용한 결과, IBU와 SVM의 소프트웨어 검증 업무의 각 53%, 70%를 마이스트가 처리했다고 밝혔다.
현대모비스가 소프트웨어 검증작업에 인공지능 기술을 선제적으로 도입한 것은 자동차 한 대에서 차지하는 소프트웨어 비중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글로벌 시장분석 기관 맥킨지 앤드 컴퍼니에 따르면 자동차 한 대에서 소프트웨어가 차지하는 비중은 현재 10%에서 2030년 30% 수준으로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이렇듯 검증의 중요성도 더욱 커지고 있다. 소프트웨어가 탑재된 전장부품은 100여개가 넘는데, 한 개의 소프트웨어를 문서 형태로 전환할 경우 그 분량은 3만 줄에서 수천만 줄에 이를 만큼 방대한 용량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수작업 방식의 검증에는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는 이유다.
현대모비스는 하반기부터 마이스트를 소프트웨어가 탑재되는 전장 전 부품으로 확대 적용한다. 제동과 조향 등의 핵심부품은 물론 자율주행·첨단 운전자 지원시스템(ADAS)·친환경 등 미래차 연구 전 부문으로 확대되며, 소프트웨어 연구 기지가 소재한 인도에서도 사용될 계계획이다.
현대모비스 플랫폼 소프트웨어 개발실장 이승용 이사는 “마이스트가 검증 업무의 50~70%를 대신하면서 연구원들은 더 창의적인 환경에서 알고리즘 설계 역량을 강화하고 급속도로 증가하는 차량용 소프트웨어 개발에 신속 정확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한편, 현대모비스는 자율주행·커넥티비티 등 미래차 소프트웨어 중심기업으로 변화를 선언한 바 있으며, 지난 5월에는 독일 컨티넨탈 출신의 커넥티비티 소프트웨어 전문가인 칼스텐 바이스 박사를 소프트웨어 설계담당 상무로 영입했다.
클래스가 다른; 자동차 뉴스 데일리카 http://www.dailycar.co.kr
본 기사를 이용하실 때는 출처를 밝히셔야 하며 기사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관련기사]
수소차·전기차..친환경부품 매출 1조 돌파한 현대모비스 ‘주목’
현대모비스, 친환경차 부품 매출 1조원 돌파..관련 연구 강화 계획
자율주행 ‘레벨4’에 도전하는 현대모비스..미래차 기술에 ‘올인’
현대모비스, 김서림 없는 헤드램프 세계 최초 개발..양산 계획
현대모비스는 하반기부터 마이스트를 소프트웨어가 탑재되는 전장 전 부품으로 확대 적용한다. 제동과 조향 등의 핵심부품은 물론 자율주행·첨단 운전자 지원시스템(ADAS)·친환경 등 미래차 연구 전 부문으로 확대되며, 소프트웨어 연구 기지가 소재한 인도에서도 사용될 계계획이다.
현대모비스 플랫폼 소프트웨어 개발실장 이승용 이사는 “마이스트가 검증 업무의 50~70%를 대신하면서 연구원들은 더 창의적인 환경에서 알고리즘 설계 역량을 강화하고 급속도로 증가하는 차량용 소프트웨어 개발에 신속 정확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한편, 현대모비스는 자율주행·커넥티비티 등 미래차 소프트웨어 중심기업으로 변화를 선언한 바 있으며, 지난 5월에는 독일 컨티넨탈 출신의 커넥티비티 소프트웨어 전문가인 칼스텐 바이스 박사를 소프트웨어 설계담당 상무로 영입했다.
클래스가 다른; 자동차 뉴스 데일리카 http://www.dailycar.co.kr
본 기사를 이용하실 때는 출처를 밝히셔야 하며 기사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관련기사]
수소차·전기차..친환경부품 매출 1조 돌파한 현대모비스 ‘주목’
현대모비스, 친환경차 부품 매출 1조원 돌파..관련 연구 강화 계획
자율주행 ‘레벨4’에 도전하는 현대모비스..미래차 기술에 ‘올인’
현대모비스, 김서림 없는 헤드램프 세계 최초 개발..양산 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