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17.06.14 09:11

현대기아자동차의 차량 결함 관련 공익제보(내부고발) 32건 전체가 재조사 선상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14일 뉴스토마토는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 후보자가 국회에 제출한 인사 청문 서면답변서에서 “(국토부가) 객관적이고 공정하게 심의한 것으로 알고 있지만 미흡한 점이 있는지 다시 살펴보겠다”라고 밝혔다고 전했다.
14일 뉴스토마토는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 후보자가 국회에 제출한 인사 청문 서면답변서에서 “(국토부가) 객관적이고 공정하게 심의한 것으로 알고 있지만 미흡한 점이 있는지 다시 살펴보겠다”라고 밝혔다고 전했다.

이는 ‘내부고발 32건 중 8건이 리콜, 9건이 리콜 아니라는 국토부 결정이 미흡하다고 소비자들이 비판한다’는 질의에 대한 답변이다.
‘리콜 사유가 아니라고 판단한 결정에 대해 재조사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에도 김 후보자는 “장관으로 취임하게 되면 다시 한 번 살펴보겠다. 정부의 의사결정과정을 투명하고 상세하게 소비자들께 설명토록 하겠다.”라고 밝혔다.
‘리콜 사유가 아니라고 판단한 결정에 대해 재조사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에도 김 후보자는 “장관으로 취임하게 되면 다시 한 번 살펴보겠다. 정부의 의사결정과정을 투명하고 상세하게 소비자들께 설명토록 하겠다.”라고 밝혔다.

국토부는 지난해 9월 현대기아차 차량 결함에 대한 김광호 전 현대차 부장의 공익제보 32건을 조사해 안전과 직결된 결함 3건은 자발적 리콜, 5건은 강제 리콜을 명령했다. 나머지는 공개 무상수리 권고(9건), 추가조사 필요(3건), 지속적 모니터링 필요(12건) 등으로 분류했다.
그러나 현대기아차의 결함 은폐를 의심해 온 소비자들은 국토부의 조치가 미약하다며 반발해왔다. 매체는 김 후보자가 이런 여론을 감안해 리콜에 대해 재조사할 것이라고 전했다.
그러나 현대기아차의 결함 은폐를 의심해 온 소비자들은 국토부의 조치가 미약하다며 반발해왔다. 매체는 김 후보자가 이런 여론을 감안해 리콜에 대해 재조사할 것이라고 전했다.

김 후보자는 “리콜 대상 차량은 타인의 안전에도 영향을 줄 수 있어 사고 발생 전에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다. 차량을 철저히 조사해 문제가 발견되면 리콜을 명령할 것이다. 결함 차량은 신속히 리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법 개정으로 제작사의 무상수리 자료, 사고 자료 등의 제출을 의무화했다. 향후 제출된 자료를 철저히 분석해 선제적으로 리콜 명령을 내리겠다.”라고 말했다고 매체는 보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