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전기차 보조금 없으면 구매 안한다..대안 마련 시급

데일리카 박홍준 기자

입력 : 2017.04.13 11:55

수정 : 2017.04.13 14:02

미국에서 전기차 시장이 한 순간 붕괴할 수 있다는 보고서가 발간돼 주목된다.

애드먼즈닷컴은 12일(현지 시각) 발행한 EV 리포트에서 미국에서 친환경차 보조금 제도가 종료될 경우 전기차 시장이 붕괴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애드먼즈는 미국 정부의 전기차 구매 보조금이 오는 2018~2019년 경에 바닥날 것이라고 덧붙였다.

미국 정부는 전기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 구매자에게 최대 7500달러(한화 약 850만원) 수준의 세제혜택을 제공하고 있는데, 이런 지원이 중단될 경우 전기차에 대한 경제적 메리트가 떨어짐은 물론, 친환경차 보급 확산에도 제동이 걸릴 전망이다.

미국 정부의 전기차 보조금은 확대될 가능성이 미미하다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트럼프 행정부는 집권 이후 친환경차 보급 예산을 삭감하고 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미국 환경청(EPA) 예산을 31% 삭감했으며, 50개 이상의 환경 관련 프로그램을 폐기한 것으로 전해진다.

특히, EPA 장관으로 선임된 스콧 프루이트 전 오클라호마 주 법무장관은 미국 내 대표적인 지구온난화 회의론자로 알려진 인물이라는 점에서 설득력을 더한다.

이 같은 전기차 시장 붕괴 가능성은 이미 나타나고 있다는 지적이다. 미국 조지아주는 지난 2015년부터 전기차 구매 보조금 지급이 중단됐는데, 그해 여름 조지아주의 전기차 판매 점유율은 17%에서 2%대로 급락했다.

이런 감소 추세는 닛산 리프, BMW i3, 쉐보레 볼트(volt) 등 테슬라를 제외한 중⋅저가 전기차 시장에서 두드러졌다. 특히, 닛산 리프는 조지아 주에서 월 평균 2500~3000대 수준의 판매를 보였는데, 보조금 지급이 중단된 이후엔 100여대 수준으로 추락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보조금이 사라질 경우 전기차를 살 이유가 없다는 게 확인된 것”이라며 “전기차 구매를 유도할 만한 다른 대책 수립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한편, 국내 전기차 시장의 경우, 정부는 올해 1만4000대의 전기차를 국내에 보급하겠다는 계획을 갖고있다.

PC 버전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