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16.05.17 03:00

국내 판매된 닛산자동차의 디젤(경유) SUV(스포츠유틸리티차량)인 '캐시카이'가 배기가스 장치를 불법으로 조작해 대기오염 물질인 질소산화물(NOx)을 인증 기준 대비 20배 넘게 배출한 사실이 환경부 조사 결과 밝혀졌다. 경유차의 배기가스 장치 조작 사실이 드러나기는 작년 9월 미국 환경청(EPA)이 조사한 폴크스바겐 경유차에 이어 전 세계적으로 이번이 두 번째 사례다.
환경부는 국내 판매 중인 경유차 20종을 대상으로 작년 12월부터 지난달까지 배기가스 검사를 벌인 결과 "BMW를 제외한 19개 차종 모두가 실제 도로를 주행할 때 질소산화물을 인증 기준보다 1.6~20.8배까지 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16일 밝혔다. 조사 대상 20개 차종은 모두 환경 기준을 강화한 '유로6' 기준에 맞춰 출시된 신차(新車)다. 폴크스바겐 사태에서 촉발된 이른바 '디젤 게이트'가 국내에서도 사실로 확인된 것이다.〈본지 4월 28일자 A1·A2면 보도〉
환경부 조사 결과 배출량 초과율이 20.8배로 가장 높은 캐시카이는 정상적인 운전 조건에서도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EGR)'의 작동이 멈추면서 질소산화물이 과다 배출되도록 시스템이 설정된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따라 환경부는 이 차를 수입 판매한 한국닛산에 대해 과징금 3억3000만원을 부과하고 판매 정지 및 형사 고발하기로 했다. 작년 11월부터 이달까지 이미 판매된 차량 814대에 대해서는 전량 리콜 명령을 내릴 방침이다.
환경부는 "닛산 캐시카이의 경우 폴크스바겐처럼 차량 연비를 높이려고 배출가스 저감장치를 조작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캐시카이는 최근 유럽에서 매달 1만7000대씩 팔려 유럽 내 최다 판매 차종 전체 20위 안에 드는 인기 모델이어서 유럽에서도 리콜 등 파장이 예상된다.
질소산화물 배출량을 초과한 다른 차종들도 제작자의 자발적 리콜 등 개선 대책이 이어질 전망이다. 환경부는 배출량 초과율이 인증 기준 대비 17배로 캐시카이에 이어 둘째로 높은 르노삼성의 QM3에 대해선 "이미 팔린 6500여 대를 자발적으로 리콜해 배기가스 저감 장치를 개선하라"고 요구했고, 나머지 17개 차종 8만여 대에 대해서도 자발적 리콜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환경부는 국내 판매 중인 경유차 20종을 대상으로 작년 12월부터 지난달까지 배기가스 검사를 벌인 결과 "BMW를 제외한 19개 차종 모두가 실제 도로를 주행할 때 질소산화물을 인증 기준보다 1.6~20.8배까지 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16일 밝혔다. 조사 대상 20개 차종은 모두 환경 기준을 강화한 '유로6' 기준에 맞춰 출시된 신차(新車)다. 폴크스바겐 사태에서 촉발된 이른바 '디젤 게이트'가 국내에서도 사실로 확인된 것이다.〈본지 4월 28일자 A1·A2면 보도〉
환경부 조사 결과 배출량 초과율이 20.8배로 가장 높은 캐시카이는 정상적인 운전 조건에서도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EGR)'의 작동이 멈추면서 질소산화물이 과다 배출되도록 시스템이 설정된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따라 환경부는 이 차를 수입 판매한 한국닛산에 대해 과징금 3억3000만원을 부과하고 판매 정지 및 형사 고발하기로 했다. 작년 11월부터 이달까지 이미 판매된 차량 814대에 대해서는 전량 리콜 명령을 내릴 방침이다.
환경부는 "닛산 캐시카이의 경우 폴크스바겐처럼 차량 연비를 높이려고 배출가스 저감장치를 조작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캐시카이는 최근 유럽에서 매달 1만7000대씩 팔려 유럽 내 최다 판매 차종 전체 20위 안에 드는 인기 모델이어서 유럽에서도 리콜 등 파장이 예상된다.
질소산화물 배출량을 초과한 다른 차종들도 제작자의 자발적 리콜 등 개선 대책이 이어질 전망이다. 환경부는 배출량 초과율이 인증 기준 대비 17배로 캐시카이에 이어 둘째로 높은 르노삼성의 QM3에 대해선 "이미 팔린 6500여 대를 자발적으로 리콜해 배기가스 저감 장치를 개선하라"고 요구했고, 나머지 17개 차종 8만여 대에 대해서도 자발적 리콜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