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18.06.20 16:43
수정 : 2018.06.20 16:43

[데일리카 박홍준 기자] 현대차그룹이 아우디와의 수소차 기술 제휴를 발표한 가운데, 현대모비스 역할이 주목받고 있다.
20일 현대자동차그룹에 따르면, 이날 발표된 아우디와의 기술 협업에는 현대모비스가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현대모비스는 주요 친환경 부품의 설계 및 양산능력을 갖추고 있는 한편, 현대차그룹의 수소전기차 경쟁력을 뒷받침 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대차는 지난 2013년 세계 최초의 양산형 수소전기차 ‘투싼 FCEV'를 공개한 바 있다. 이는 일본 경쟁사 대비 2년 빠른 시점으로, 현대모비스는 투싼에 적용된 핵심 부품을 독자 개발, 공급했으며, ’넥쏘‘에도 연료전지모듈 등 총 8종의 전용 부품을 납품하고 있다.
현대모비스는 지난해 충북 충주 친환경산업단지 내 친환경차 핵심부품 공장인 충주공장(5만2000㎡) 옆에 수소전기차 부품 전용공장(1만3000㎡)을 증설, 올 초부터 본격 양산하면서 글로벌 친환경차 부품 전문기업으로 도약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20일 현대자동차그룹에 따르면, 이날 발표된 아우디와의 기술 협업에는 현대모비스가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현대모비스는 주요 친환경 부품의 설계 및 양산능력을 갖추고 있는 한편, 현대차그룹의 수소전기차 경쟁력을 뒷받침 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대차는 지난 2013년 세계 최초의 양산형 수소전기차 ‘투싼 FCEV'를 공개한 바 있다. 이는 일본 경쟁사 대비 2년 빠른 시점으로, 현대모비스는 투싼에 적용된 핵심 부품을 독자 개발, 공급했으며, ’넥쏘‘에도 연료전지모듈 등 총 8종의 전용 부품을 납품하고 있다.
현대모비스는 지난해 충북 충주 친환경산업단지 내 친환경차 핵심부품 공장인 충주공장(5만2000㎡) 옆에 수소전기차 부품 전용공장(1만3000㎡)을 증설, 올 초부터 본격 양산하면서 글로벌 친환경차 부품 전문기업으로 도약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현대모비스 수소전기차 부품 전용공장은 연간 3000대 규모의 수소전기차 핵심부품 생산능력을 갖추고 있다. 시장 수요에 따라 수만 대 규모로 생산을 확장할 수 있는데, 이는 글로벌 최고 수준의 생산 능력이라는 게 현대모비스 측의 설명이다.
특히 현대모비스는 현대차와 함께 연료전지 시스템의 핵심인 ‘막전극접합체 (MEA)’ 국산화 개발에 성공하는 등 세계적인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현대모비스가 양산하는 넥쏘의 연료전지모듈은 연료전지 시스템뿐만 아니라 구동모터, 인버터, 직류변환장치 등 주요 핵심 부품의 단순화, 소형화와 고성능화 등을 통해 세계 최고 수준인 60%의 시스템 효율을 구현했다.
수소전기차 핵심부품 설계부터 생산까지 역량을 갖춘 현대모비스는 주요 부품의 개발 기능 향상에 역량을 쏟고 있으며, 친환경차 부품부터 모듈까지 독자적으로 생산하는데 집중하고 있다.
특히 현대모비스는 현대차와 함께 연료전지 시스템의 핵심인 ‘막전극접합체 (MEA)’ 국산화 개발에 성공하는 등 세계적인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현대모비스가 양산하는 넥쏘의 연료전지모듈은 연료전지 시스템뿐만 아니라 구동모터, 인버터, 직류변환장치 등 주요 핵심 부품의 단순화, 소형화와 고성능화 등을 통해 세계 최고 수준인 60%의 시스템 효율을 구현했다.
수소전기차 핵심부품 설계부터 생산까지 역량을 갖춘 현대모비스는 주요 부품의 개발 기능 향상에 역량을 쏟고 있으며, 친환경차 부품부터 모듈까지 독자적으로 생산하는데 집중하고 있다.

현대모비스 관계자는 “수소전기차는 짧은 충전시간, 긴 주행거리뿐만 아니라 공기청정 기능까지 갖춘 미래형 친환경차”라며 “이번 파트너십 체결을 시작으로 미래 수소전기차 시장에서의 선도적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현대차그룹과 아우디의 파트너십 협약에 따라 현대모비스의 친환경차 핵심부품 기술 경쟁력 강화에도 가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클래스가 다른; 자동차 뉴스 데일리카 http://www.dailycar.co.kr
본 기사를 이용하실 때는 출처를 밝히셔야 하며 기사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관련기사]
한편, 현대차그룹과 아우디의 파트너십 협약에 따라 현대모비스의 친환경차 핵심부품 기술 경쟁력 강화에도 가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클래스가 다른; 자동차 뉴스 데일리카 http://www.dailycar.co.kr
본 기사를 이용하실 때는 출처를 밝히셔야 하며 기사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