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조선
기아, 반도체 수급난 여파에도 지난해 역대 최대 실적… "올해 전기차 전환에 집중할 것"
기아가 지난해 글로벌 차량용 반도체 품귀 현상의 위기에도 연간 영업이익과 매출 모두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또한, SUV 등 고수익 차종 효과도 실적 향상에 큰 도움이 됐다.기아는 지난해 4분기(10~12월) 실적이 IFRS 연결 기준 판매 64만7949대, 매출액 17조1884억원, 영업이익 1조1751억원, 경상이익 1조6306억원, 당기순이익 1조2477억원을 기록했다고 26일 밝혔다.판매는 국내에 전년 동기 대비 4.2% 감소한 13만1668대, 해외에 전년 동기 대비 14.7% 감소한 51만6281대 등 글로벌 시장에서 전년 동기 대비 12.8% 감소한 64만7949대를 기록했다.(도매 기준)국내외 주요 시장에서 견조한 수요가 이어졌지만, 반도체 부족에 따른 생산 차질로 재고 부족 현상이 지속되며 아중동 권역을 제외한 전 지역에서 판매가 감소했다.4분기 매출액은 공급 차질에 따른 큰 폭의 판매 감소 등 비우호적인 여건에도 불구하고, 원-달러 환율 상승과 고부가가치 차종 판매 확대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1.6% 증가한 17조1884억원을 기록했다.매출원가율은 판매 감소와 재료비 상승 등의 원가 부담 요인이 다수 있었지만, 평균 판매 가격 상승과 제품 믹스 개선, 우호적인 환율 효과 등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1.9% 낮아진 80.2%를 기록했다.영업이익과 관련해서는 EV6ᆞ스포티지 등 신차 판매 호조, 개선된 상품성 및 브랜드 인지도 제고 등을 바탕으로 한 역대 최고 수준의 평균 판매 가격 상승과 큰 폭의 인센티브 축소 지속 등 우호적인 요인이 있었지만, 판매량 감소와 함께 연구개발비 확대, 성과급 등 비용 증가 요인으로 이익 개선 분이 상쇄됐다.이 결과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8.3% 감소한 1조1751억원, 영업이익률은 0.8% 하락한 6.8%를 기록했다.지난해 연간 판매는 국내에 전년 동기 대비 3.1% 감소한 53만5016대, 해외에 전년 동기 대비 9.1% 증가한 224만1343대 등 글로벌 시장에서 전년 동기 대비 6.5% 증가한 277만6359대를 기록했다.(도매 기준)연간 매출액은 고수익 RV 및 신차 중심의 판매 확대와 믹스 개선, 친환경차 판매 확대로 전년 대비 18.1% 증가한 69조8624억원을 기록했다.연간 영업이익은 2020년 품질 비용 발생에 따른 기저 효과, 판매량 확대 및 믹스 개선과 이에 따른 대당 판매 가격 상승, 인센티브 축소 등 전반적인 수익성 체질 개선이 선순환을 이루며 전년 동기 대비 145.1% 증가한 5조657억원을 달성했고, 영업이익률은 7.3%를 기록했다.기아는 올해 경영 환경과 관련해 인플레이션에 따른 소비자들의 실구매력 저하, 주요 업체 간 경쟁 심화 등이 우려되는 가운데에도, 코로나19 영향 완화로 글로벌 자동차 수요가 회복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전기차를 중심으로 친환경차 시장은 크게 확대될 것으로 봤다.이에 반도체 수급 상황 개선과 연계한 생산 확대를 통해 그 동안 쌓인 미출고 대기 물량을 빠르게 해소함으로써 큰 폭의 판매 증가를 달성하는 동시에, 개선된 브랜드 및 상품성을 바탕으로 수익성 강화를 지속 추진할 계획이다. EV6와 신형 니로 등 친환경차 판매도 확대해 전기차 전환에 집중한다.기아 관계자는 "올해 1분기까지는 일부 품목의 반도체 부족 현상이 지속될 수 있으나 지난해 3분기를 저점으로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다"며, "올해 1분기부터 생산 확대를 시작해 올해 중순께에는 완전 정상화가 예상된다"고 말했다.기아는 경영실적 발표에 이어 투자자 신뢰 강화 및 투명성 제고를 위해 연간 사업 계획 및 재무 목표를 발표, 공시했다.올해 판매 목표는 지난해 실적 대비 13.5% 증가한 315만대(CKD 포함)로 잡았다. 국내는 5.0% 증가한 56만2000대, 해외는 15.5% 증가한 258만8000대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통해 매출액은 19.0% 증가한 83조1000억원, 영업이익은 27.3% 증가한 6조5000억원, 영업이익률은 0.5% 향상된 7.8% 달성을 목표로 제시했다.중장기적으로는 전동화 모델의 생산 및 판매 확대를 통한 수익성 확보를 추진하고, 소프트웨어/서비스 부문 등 신수익 및 신사업 분야를 구체화해 나갈 계획이다. 기아 관계자는 "글로벌 반도체 부족에 따른 차량 공급 부족 현상이 전반적으로 발생하며 판매가 줄었다"며, "SUV 등 고수익 차종 중심의 판매를 통한 평균 판매 가격 상향과 믹스 개선으로 수익성 하락을 최소화했다"고 말했다.또 이어 "4분기 판매는 가용재고 부족으로 감소했으나 당사 주요 차종에 대한 신규 주문은 지속 증가하는 등 견고한 수요가 유지되고 있는 만큼, 생산이 정상화되면 자연스럽게 판매도 회복될 것"이라며, "올해는 미국 시장 출시 등 글로벌 판매가 본격화되는 EV6와 신형 니로 등 전동화 차량과 글로벌 인기 모델인 스포티지의 판매 확대에 주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