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카 박홍준 기자] BMW 차량 화재 사태에 대해 정부가 내놓은 중고차 유통 관리 조치에 업계가 싸늘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지난 8일 국토교통부가 긴급 브리핑을 통해 밝힌 중고차 유통 관리 후속 조치에 따르면, BMW 등 문제가 된 리콜 차량들은 중고차 매매 시 첨부되는 성능⋅상태점검 기록부에 해당 차량의 리콜 유무를 고지해야 함은 물론, 관련 조치가 선행되어야 판매가 가능하다.

이는 해당 차량들의 매매와 구입을 포함한 유통을 전적으로 통제 하겠다는 뜻으로, 정부는 리콜 대상인 BMW 차량 소유주들은 물론, 국민 전체의 안전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라는 입장이다.

그러나, 중고차 업계 전반에서는 이와 같은 조치가 형평성에 어긋남은 물론, 대처 방식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높았다. 리콜은 BMW에 국한된 문제가 아닌 데다, 현금 또는 현물의 유통 자체를 금지하는 것 자체가 근본적 해결책이냐는 의문이 다수였다.

수도권 대형 중고차 유통 단지의 한 관계자는 “단지 내 9000여대의 차량 중 대상 차량 150여대에 대해 BMW 측이 출장 긴급 진단을 마쳤으며 다른 단지들도 그런 것으로 안다”면서도 “화재 발생 차량들에 대해 정부가 유통까지 통제하겠다는 건 어떤 근거에서 그렇게 말을 하는 지 이해하기 힘들다”고 밝혔다.

서울의 한 매매단지에 속한 중고차딜러는 직접 차량을 센터로 이동시켜 긴급진단을 마쳤다. 그는 “특별한 이슈가 없는 국산차에서도 화재 가능성을 문의하는 고객의 문의가 부쩍 늘었다”며 “정부가 조치를 하겠다면 다른 문제로 리콜이 이뤄지는 차에도 공평한 정책을 써야하는 것 아닌가”라고 지적했다.

또 다른 딜러는 BMW 중고차에 대한 매입을 당분간 포기하기로 결정했다. 520d 등 리콜 대상 차량들은 시장에서 인기를 모으는 모델이지만, 매입 문의가 늘어 시세 하락은 언제든 이뤄질 수 있는 데다, 시운전 혹은 예기치 못할 상황에서의 화재가 두렵다는 입장이다.

이 딜러는 “화재는 운행 중인 상황에서만 발생한다고 하지만 잘 믿지 못하겠는 건 사실”이라며 “혹여나 단지 내 화재로 이어지진 않을까 걱정되는 마음에 당분간은 BMW 차량은 매입을 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BMW는 14일까지 긴급 안전진단을 마무리 하는 데에 이어 오는 20일부터 EGR 모듈 교체와 클리닝을 포함한 리콜 조치를 시작한다.

클래스가 다른; 자동차 뉴스 데일리카 http://www.dailycar.co.kr
본 기사를 이용하실 때는 출처를 밝히셔야 하며 기사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관련기사]
BMW, “자율주행차 상용화 여부..규제 따라 결정될 것”
BMW 신형 Z4, 온라인 통해 유출..스포티한 외관 ′눈길′
엔지니어 부터 영업사원 까지..BMW 화재 사태 진화 ‘진땀’
BMW, 6일만에 4만7천대 긴급 진단 완료..사태 진화 ‘총력’
[하영선 칼럼] BMW 차량 화재로 강경한 정부..객관적 대책은?

홈으로 이동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