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모비스가 후진 주행 시 운전자가 별도로 핸들을 조작하지 않아도 알아서 방향을 틀어주는 기술을 개발했다.

현대모비스는 후방 주행지원 기술을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후진으로 주차할 때 자동으로 조향해 주는 기능인 파킹 어시스트(PA, Parking Assist)는 이미 상용화 된 바 있으나, 후방 주행 자체를 지원하는 기술은 이번이 처음으로 개발됐다. 현대모비스는 이번 기술을 시작으로 후방 자율 주행 기술 확보에 박차를 가해 자율주행 기술 완성도를 높여간다는 계획이다.

현대모비스 후방 주행지원 기술은 오던 길을 후진으로 되돌아갈 때 자동으로 조향을 지원해주는 것으로, 자동차는 전진할 때의 속도와 주행경로를 컴퓨터에 저장해 두었다가 후진할 때 이를 역으로 계산해 자동으로 방향을 틀어주는 방식이다.

현대모비스는 이번 기술 개발이 특히 후진 주행의 어려움을 느끼는 초보 운전자들에게 도움이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번 후방 주행 지원 기술 개발을 주도한 김정구 현대모비스 책임연구원은 “우리나라는 왕복 2차로 도로가 전국 도로의 약 70%를 차지할 정도로 좁은 길이 많고, 주차공간이 협소해 후진으로 차를 일정거리 이상 움직여야 하는 상황이 많다”며 “이런 상황에서 후방주행지원 기술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모비스가 개발한 이 기술은 카메라, 레이더, 초음파 센서 등을 통해 외부환경을 직접 인식하는 일반적인 운전자 지원기술(DAS, Driving Assistance System)과는 달리, 실시간 주행 정보를 통해 환경을 파악한다. 차량 내부에 장착된 조향각 센서, 휠 센서, YAW(휨) 센서 등을 활용해 차의 이동 속도와 거리, 회전한 정도 등을 측정하는 방식이다.

현대모비스 관계자는 “대부분 업체들이 전방 자율주행기술 개발에만 집중하고 있어 외부환경을 직접 인식할 수 있는 고가의 카메라, 라이다, 레이더 센서들은 차량 전방에만 몰려있는 상황”이라며 “이 때문에 후방에는 후방 카메라 한대와 단거리를 측정하는 초음파 센서만 있어 적극적인 외부환경 인식이 힘들다”고 설명했다.

이에 현대모비스는 고가의 센서를 추가하지 않고도 이미 대부분 차량에 장착돼 있는 센서들을 활용해 범용성과 가격경쟁력을 끌어올렸다고 설명했다. 현대모비스는 이번 기술로 국내 특허 2건과 해외 특허 1건을 출원하기도 했다.

현대모비스는 향후 카메라, 레이더 센서 등을 추가해 출발과 제동까지도 지원해주는 완전한 후방 자율주행 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다.

현대모비스 DAS부품개발센터장 조서구 이사는 “자율주행기술이 눈앞에 다가와 있다고는 하지만 아직까지 운전자지원기술의 편리함을 제대로 활용하는 운전자들이 많지 않은 것도 사실”이라며 “이번 후방 주행지원 기술처럼 당장 운전자들이 까다로워 하는 부분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들을 확대 개발해 실생활에서 더 많은 편의를 드릴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현대모비스의 이번 후방 주행지원 기술은 사내 직원들을 대상으로 개최된 ‘현대모비스 기술공모전’의 수상작으로, 현대모비스는 당시 아이디어 차원이었던 기술의 가능성을 인정, 이번 기술 확보로 이어지게 됐다고 설명했다.



클래스가 다른; 자동차 뉴스 데일리카 http://www.dailycar.co.kr
본 기사를 이용하실 때는 출처를 밝히셔야 하며 기사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관련기사]
“친환경 운전으로 탑승자의 건강도 챙긴다!”..캠페인 ‘주목’
[김필수 칼럼] 현대모비스의 역할..부품 업계의 ‘히든 챔피언’ 되려면...

홈으로 이동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