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조선
‘달리던 속도 그대로’ 고속도로 하이패스 통과한다
하이패스 차로의 측면 장애물이 점차 없어져 달리던 속도 그대로 주행하면서 안전하게 통행료를 납부할 수 있게 된다.
국토교통부와 한국도로공사는 국고속도로 하이패스 차로를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다차로 하이패스’를 도입할 계획이라고 24일 밝혔다.
다차로 하이패스는 단차로를 2차로 이상으로 확대 설치해 하이패스 통과 시 본선과 같은 속도로 주행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현재 설치된 고속도로 하이패스는 대부분 기존의 요금소를 개량해 설치했기 때문에 차로 폭(3.0m~3.5m)이 좁아 안전운행을 위해 속도를 시속 30km로 제한하고 있다. 그러나 제한속도를 준수하지 않고 과속으로 통과하는 차량이 많아 사고 위험이 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하이패스 차로의 제한속도 준수율은 6%이하이며 연간 40여건의 사고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국토교통부는 하이패스 차로 사이에 경계석이 없는 다차로 하이패스를 도입하기로 했다.
먼저 교통 흐름 개선 등 도입 효과가 큰 요금소부터 단계적으로 도입할 계획이다. 올해는 제2경인고속도로 등 4곳에 2차로 하이패스가 구축된다. 구체적인 대상지역은 제2경인고속도로의 남인천, 남해고속도로의 서영암과 남순천, 경부고속도로의 북대구 톨게이트다.
2018년~2019년에는 교통량이 많은 3차로 이상의 수도권 고속도로 본선 요금소 중심으로 다차로 하이패스를 구축할 예정이다. 구체적인 대상지역은 경부고속도로 서울, 서해안고속도로 서서울, 중부고속도로 동서울 등 13개소 톨게이트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다차로 하이패스 도입으로 하이패스 차로 폭이 확대돼 더욱 안전해지고, 지·정체 개선 효과도 클 것으로 전망된다”며 “주행 중에 자동으로 통행료가 부과되는 스마트톨링(Smart Tolling) 시스템도 2020년까지 차질 없이 도입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더드라이브 이다정 기자=dajeong.lee@thedrive.co.kr]